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계단 오르기 운동 하면 안되는 사람

by 헬시데이^^ 2024. 3. 27.
반응형

많은 칼로리가 소모돼 다이어트에 좋은 운동으로 알려진 계단 오르기 운동. 하지만 관절이 약하거나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은 운동이라고 합니다. 계단 오르기 운동의 효과와 주의할 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계단 오르는 사람
출처 : UNSPLASH

 

 

계단 오르기 운동의 효과

 

계단 오르기는 평지를 걸을 때보다 에너지가 많이 소모돼 운동효과가 높습니다. 때문에 다이어트를 하는 분들이 많이 하기도 하죠. 에너지 소모뿐만 아니라, 심폐 기능 향상, 근육량 증가로 인한 기초대사량 증가, 지구력, 균형감각등에도 도움이 됩니다.

 

무릎 관절엔 위험

 

계단 오르기는 이처럼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무릎 관절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는 추천되지 않습니다. 계단을 오르면 지속적으로 관절에 힘이 가해져 관절염이 생기기 쉽기 때문입니다. 만약 계단을 오를 때 무릎이 아프다면 이미 관절의 힘이 약해져 있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무릎에 무게가 과도하게 실리는 동작이 반복되면 '추벽증후군'의 위험도 있습니다. 추벽은 무릎을 굽히고 펼때 같이 움직이게 되는 얇은 막인데, 무리한 운동을 하게 되면 여기에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이로 인한 발병을 '추벽증후군'이라 합니다. 선천적으로 추벽이 두껍고 단단한 사람은 더욱 위험이 커 계단 오르기 운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질환, 빈혈엔 주의

 

심장 기능이 떨어진 상태에서 계단을 오르면 심장에 무리가 올 수 있습니다. 또 빈혈 환자는 계단을 오르다가 감자기 숨이 차거나 정신이 혼미해질 수 있습니다. 빈혈은 체내의 적혈구 부족으로 산소 공급이 저하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면서 피로감이 지속되고 호흡곤란이 올 수 있습니다. 거기에 정신이 혼미해진다면 넘어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균형 감각이 약한 노인들도 계단 오르기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알맞은 계단 오르기는 땀이 조금 나고, 대화가 가능할 정도로 숨이 약간 찰 때까지만 하는것이 좋습니다. 숨이 심하게 차거나 다리가 아플 때는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휴식 후에는 평지를 잠시 걸은 뒤 다시 계단을 오르도록 합니다. 노약자는 가급적 계단 오르기를 삼가야 하고, 계단 이용 시에는 난간을 잡고 이동해야 합니다.